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해평 윤씨
(海平 尹氏) |
시조(始祖) : 윤군정(尹君正) |
시조 윤군정(君正)은 고려 고종, 원종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 수사공(守司空),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공부판사(工部判事)를 지냈다.(고려
인종 때 문하시중을 지낸 윤신준의 후손으로 전한다.) 시조의 아들 윤만비(萬庇)는 충렬왕 때 기사일등공신(己巳一等功臣)으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를 역임했다.
시조의 손자 윤석(碩)이
고려 충숙왕 때 충근절의동덕찬화보정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保定功臣), 벽상삼중대광, 도첨의사,
우의정,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해평(海平)을
본관으로 하였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문영공파(文英公派) : 윤지현(之賢)은 윤군정의
증손이다. 충간공파(忠簡公派) : 윤지호(之彪)은 윤군정의
증손이다. 오음공파(梧陰公派) : 윤두수(斗壽)는 조선
선조 때 영의정으로 충간공파에서 갈라졌다. 월정공파(月汀公派)
: 윤근수(根壽)는 윤두수(斗壽)의 동생으로 대제학을 지내고 충간공파에서
갈라졌다. 치천공파(稚川公派) : 윤방(昉)은 윤두수(斗壽)의
아들이다. 장주공파(長洲公派) : 윤휘(暉)는 윤방(昉)의
동생이다. 백사공파(白沙公派) : 윤훤(暄)은 윤휘(暉)의
동생이다.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윤은보(殷輔): 조선 중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윤두수(斗壽)
윤근수(根壽)
윤승훈(承勳) :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윤방(昉)
: 윤두수의 첫째 아들, 인조반정으로 예조판서에 등용,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윤흔(昕) : 윤두수의
둘째 아들, 우승지를 지내고 계축옥사로 파직되었다가, 역시 인조반정
뒤 예조참판·중추부지사 등을 지냈다. 윤휘(暉)
: 윤두수의 셋째 아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인조를 따라서
적진을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하였고, 뒤에 형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에
이르고 영의정이 추증되었다. 윤훤(暄) : 윤두수의
넷째 아들, 병조판서를 지냈다. 윤오(旿) : 윤두수의
다섯째 아들,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윤급(汲) :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나 윤상서체를 이룩하였다.
윤비(妃) : 순종왕비, 영의정 윤방(昉)의 후손이다.
윤치호(致昊) : 윤흔의 8세손이며, 아버지 윤웅렬(雄烈)은 한말에 군부대신이었다.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집성촌(集姓村)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 충남
청양군 적곡면 미당리 황해도 금천군 고동면 덕산리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경북
선산 해평(海平) |
|
[ 항렬표(行列表)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영(榮) |
섭(燮) |
노(老) |
진(鎭) |
홍(洪) |
식(植) |
병(炳) |
규(圭) |
용(鏞) |
준(準)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수(秀) |
환(煥) |
기(起) |
호(鎬) |
원(源) |
모(模) |
헌(憲) |
배(培) |
종(鍾) |
태(泰) |
|
|
[ 인구(人口) ]
22,757명. (1985년) 26,341명. (2000년 통계청) |
|
[ 관련 사이트
]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