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고흥 (高興) |
|
위치 : 전라남도(全羅南道) 남동쪽에 위치하는 지명(地名). |
마한(馬韓)의 54국 중 초리국(楚離國)있었던곳으로
추청
백제 때는 동노현(冬老縣), 조조례현(助助禮縣), 비사현(比史縣), 두힐현(豆肹縣) 등이 분포.
757년(통일신라 경덕왕 16) 조조례현(助助禮縣)이 충렬현(忠烈縣)으로 개명되고 비사현(比史縣)이 백주현(柏州縣), 두힐현(豆肹縣)이 강원현(薑原縣)으로
개명되어 모두 분령군(分領郡)에 소속시켰다. 고려초에 태강현(泰江縣), 남양현(南陽縣), 두원현(豆原縣), 고이부곡((高伊部曲), 타주부곡 등의 행정단위로 분화.
성종시대 고흥지방의
행정구역을 보면 충렬현(忠烈縣)을 남양현(南陽縣), 백주현(柏州縣)을 태강현(泰江縣), 강원현(薑原縣)을 두원현(豆原縣)으로 개명하여 각각
분령군에 소속시켰다. 충선왕(忠宣王) 2년 왕이 총애하였던 환관 이대순(李大順)이 왕에게 요청하여 식촌부곡(食村部曲)을 풍안으로 고치고
현으로 승격시켜 풍안현으로 하였다. 1285년(충렬왕 11) 원래 장흥부의 묘부곡(猫部曲)을 그 곳 출신인 류비(柳庇)가 몽고어에 능통하여 국가에 공을 세웠으므로 묘부곡을
승격시켜 고흥현(高興縣)으로 하고 감무(監務)를 두었다.
1441년(조선 세종 23) 장흥부의 두원현으로 옮기고 보성군의 남양현(南陽縣)을 비롯하여 태강현(泰江縣)·두원현(荳原縣)·도화현(道化縣)·풍안현(豊安縣)·도양현(道陽縣) 등의 속현을 편입시켜 고흥(高興)과 남양(南陽)의 끝 글자를 따라
흥양현(興陽縣)이라 정했다. 흥양의 별호는 고양(高陽)이었다.
1895년(고종 32) 흥양현(興陽縣)에서 흥양군(興陽郡)으로 개편되고 군수가 두어졌다.
1896년 전국의 32부제를 폐지하고, 13도제를 실시하여 전라도를 전라남북도으로 분리함으로써 전라남도
흥양군(興陽郡)이 되었다.
1914년 부군 폐합에 따라 흥양군
일부와 돌산군 일부를 병합하여 고흥군(高興郡)이 되었다.
1973년
도양면이 도양읍으로 승격 1979년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
|
|
2읍 [ 고흥읍, 도양읍 ]
14면 [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점암면, 영남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
|
|
[ 관련 본관(성씨) ]
고흥류씨(柳氏) |
|
[ 관련&자료 사이트 ] 두원(荳原),
흥양(興陽)
전라남도
고흥군청
(www.goheung.go.kr) 고흥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www.igoheung.go.kr)
|
_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