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이씨
(平昌 李氏) |
시조(始祖) : 이광(李匡) |
시조는 고려 명종 때 태사를 지내고 광록대부로
추밀원부사에 올라 백오군에 봉해진 이광(匡)이다. (평창이씨는 경주이씨(慶州
李氏)의
분적종의 하나이다.)
그의 8세손 이천기는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산기상시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돼자 벼슬을 버리고 아들 이릉, 이곡, 이과 3형재와
함께 장단에 낙향하여 충절을 지켰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이광을 시조로하고 천기를 중시조로 하여 평창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이천기(天驥) : 고려 말에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 산기상시(散騎常侍)를 지냄.
이영서(永瑞) :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예조정랑지냈다.
이계남(季男) : 이영서의 맏아들, 연산군 때 이조판서, 중종반정 공신에 올랐다. 이계전
: 이영서의 막내아들, 병조판서를 거쳐 영중추부사에 올랐다.
이계동(季仝) : 역시 연산군 때 병조판서를 거쳐 중추부영사에 이르렀다.
이승훈(承薰) : 한국 가톨릭교사(史)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집성촌(集姓村) ]
함남 북청군 일원
강원도 평창군 평창면 일원
황해도 금천군 일원
평북 초산군 강면 용성동
평남 강서군 일원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강원
평창(平昌) |
|
[ 항렬표(行列表)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규(逵) 규(奎) |
종(鍾) 현(鉉) |
호(浩) 회(會) |
모(模) 근(根) |
병(炳) 희(熙) |
균(均) 기(基) |
용(鎔) 진(鎭) |
수(洙) 연(演) |
화(和) 주(柱) |
혁(爀) 렬(烈)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
|
재(載) 시(時) |
석(錫) 선(善) |
순(淳) 제(濟) |
상(相) 주(柱) |
하(夏) 형(炯) |
규(珪) 배(培) |
호(鎬) 용(鏞) |
|
|
|
|
|
[ 인구(人口) ]
55,587명. (1985년) 65,945명. (2000년 통계청) |
|
[ 관련 사이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