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51년(명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75년(선조 8)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고
 1578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도승지로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하여
 1590년 평난공신 3등(平難功臣 
                三等)에 책록되고,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형조판서로 세자를 강계(江界)에 호종,
 다음해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좌참찬으로 김시헌(金時獻) 등과 복수군을 조직하고,
 1599년 우의정을 거쳐
 다음해 좌의정이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가
 1601년 병으로 사직하였다.
 
 호성공신 
                3등(扈聖功臣 三等)에 책록되고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으로 추봉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