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주
            김씨 (羅州 金氏) | 
    
        |  시조(始祖) : 김운발(金雲發) | 
    
        | 시조 김운발(雲發)은 신라 56대 경순왕(敬順王)의 손자이다.
 그의 아버지 김굉(鍠)은 신라가 망하자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에 들어가 삭발을 하고 법명(法名)을 범공(梵空)으로 
                귀의(歸衣)하였는데, 그가 입산전 두 아들을 고려(高麗)에서 예우하여 
                장자 김운발(雲發)은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러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본관을 나주로 삼았다.
 | 
    
        |   | 
    
        | 여기서 분관된안로김씨 - 우발의 아들
 오천김씨 - 김굉의 7세손
 교하김씨 - 후손
 | 
    
        |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김대경(臺卿) : 고려 1326년(충숙왕 
                13) 문과에 올라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냈다.
 · 김정준(廷儁) : 조선시대의 무신으로 정종 때 
                왜구를 토벌에 공을 세워 부총제(副摠制)를 지냈다.
 · 
                김경석(景錫) :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1555년(명종 10) 호남에 
                왜구가 침입하자 방어사 적을 무찔렀다.
 · 
                김적(適) :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어 
                호조참파늘 지냈다.
 · 김충수(忠守) :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어 호조참판을 지내고 정유재란 
                때는 부인과 함께 순사하였다.
 · 
                김덕수(德秀) : 학자
 · 김복남(福南) : 
                공조좌랑
 · 감세빈(世彬) : 부호군
 | 
    
        |   | 
    
        |  [ 상계 세계도(上系世系圖) ]
 | 
    
        |   | 
    
        |  [ 집성촌(集姓村) ]전남 무안군 
                일원
 충남 청원군 대치면 오룡리
 평북 
                영변군 태평면 관상동
 평남 성천군 통선면 덕암리
 평북 
                태천군 강동면 덕화동
 | 
    
        |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전라남도 
                나주(羅州)
 | 
    
        |   | 
    
        |  [ 항렬표(行列表) ]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 기(基)용(用)
 | 탁(鐸)구(九)
 | 우(禹)병(昞)
 | 형(衡)우(宇)
 | 성(晟)재(載)
 | 기(起)희(熙)
 | 병(秉)도(度)
 | 창(彰)재(宰)
 | 치(致)정(程)
 | 모(模)호(昊)
 |  | 
    
        |   | 
    
        |  [ 인구(人口) ]41,257명. (1985년)
 46,420명. (2000년 통계청)
 | 
    
        |   | 
    
        |  [ 대종회 및 연락처 
                ]
 | 
    
        |   | 
    
        |  [ 관련 사이트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