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김씨 (淸州 金氏)  | 
    
    
          청주 김씨는 같은 본관(本貫)으로 시조(始祖)를 다르게
            하는 3계통이 있다.   | 
    
    
           | 
    
    
         시조(始祖) : 김정(金錠, 일세조 : 김보(金甫)). 김하통(金夏通). 김사지(金四知)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김보(金甫) 계통 
              시조 김정(金錠)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여섯째 아들로 공을
            세워 청주군에 봉해지고 청주를 식읍으로 하사 받았으므로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 
    
    
           | 
    
    
         [ 대표적 인물(代表的 人物) ]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항렬표(行列表)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원(元)  | 
                    형(亨)  | 
                    이(利)  | 
                    정(貞)  |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  | 
                 
             
 | 
    
    
           | 
    
    
             | 
    
    
         김하통(金夏通) 계통 
              시조 김하통(夏通)은 김방경(구안동김씨)의 6세손으로 아버지 김사의는
            청주에서 대대로 살며 고려 말에 벼슬을 하였으나, 조선이 개국을 하자
            절의를 지켜 벼슬을 하지 않고 함경도 함흥으로 이사하여 대를 이어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 
    
    
           | 
    
    
         [ 대표적 인물(代表的 人物) ]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항렬표(行列表)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두(斗)  열(烈)  | 
                    종(鍾)  교(敎)  | 
                    구(求)  호(鎬)  | 
                    정(楨)  영(永)  | 
                    용(容)  집(集)  | 
                    시(時)  희(熙)  | 
                    현(鉉)  균(均)  | 
                    하(河)  선(善)  | 
                 
             
 | 
    
    
           | 
    
    
           | 
    
    
        |  김사지(金四知) 계통
               시조 김사지(金四知)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일곱째 아들인 김선(鐥)의
            15세손이다.     김사지는 청주에 대대로 살아 왔는데 문과에 급제한 후
            좌랑, 전적을 거쳐 연산군 때 참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함경도 흥원으로
            유배되어 살면서 후손들이 조상이 살던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 人物) ]
   |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 항렬표(行列表) ] 
             
                
                    11세  | 
                    12세  | 
                    13세  | 
                    14세  | 
                    15세  | 
                    16세  | 
                    17세  | 
                 
                
                    원(遠)  | 
                    대(大)  | 
                    행(行)  | 
                    언(彦)  | 
                    규(圭)  | 
                    종(鍾)  | 
                    재(재)  | 
                 
             
 | 
    
    
        | 
               
 | 
    
    
        
             
 | 
    
    
           | 
    
    
         [ 집성촌(集姓村) ]    함남 안변군 배화면 일원   평북 
            강계군 강계읍 동부동   함남 이원군 남송면 송단리   전남 
            강진군 칠량면 현천리   전남 강진군 성전면 명산리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충청북도 
            청주(淸州)  | 
    
    
           | 
    
    
         [ 인구(人口) ] 
            26,524명. (1985년)    29,198명. (2000년 통계청)  | 
    
    
           | 
    
    
        |                   [ 대종회 및 연락처 
                ]      
 | 
    
    
           | 
    
    
         [ 관련 사이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