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428 CD번호부전용 라벨 (스티커)
|

반남
박씨 (潘南 朴氏) |
시조(始祖) : 박응주(朴應珠) |
시조 박응주(應珠)는 박혁거세(赫居世王)의 후손으로
선조를 알수가 없다. 그는 반남현(潘南縣, 전남 나주시 반남면)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선비집안의
후손으로 고려 고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그의 6세손 박은(訔)이 조선 초기 왕자(王子)의 난(亂) 때 태종(太宗)을
도와 익재동덕좌명공신으로 좌의정에 이르렀고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성 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반남으로 하였다.
|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
|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박상충(尙衷) : 공민왕 때 문과에 올라 예조정랑을 거쳐 판전교시사를 역임했다.
박은(訔) : 경사와 역학에 밝았다.
박숭질(崇質) :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내고 연산군의 폭정을 개탄하여 일부러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고 벼슬을 버림으르써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정치적 보복 속에서도 화(禍)를 면했다.
박세채(世采) : 문묘에 배향되었다. 박종악(宗岳) :
상신.
박종훈(宗薰) : 상신.
박회수(晦壽) : 상신. 박태상(泰尙)
: 대제학
박규수(珪壽) : 대제학,
박세당(世堂) : 학자
박지원(趾源) : 뛰어난 학자이다.
박소(紹),
박응남(應男)
박응복(應福)
박태보(泰輔) 등의 인물이 있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5명,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과 조선 후기에
판서급 인물을 많이 배출하여 박씨 중에서 벼슬이 가장 화려하다.
박정양(定陽)
박동량(東亮) :
임진왜란 때 공, 좌의정으로 추증
박영효(泳孝) |
|
[ 상계 계보도(上契系譜圖) ]
|
|
[ 집성촌(集姓村) ] 전북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경남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황해도 은율군 이도면 어양리 황해도 은율군 장연면 명암리
|
|
[ 본관지 연혁(本貫地沿革) ] 전남
나주 반남(潘南) |
|
[ 항렬표(行列表)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제(齊) |
양(陽) |
영(泳) 승(勝) |
서(緖) |
찬(贊) |
우(雨) 하(夏) |
천(天) 인(仁) 지(持) |
승(承) 춘(春) |
녕(寧) 헌(憲) |
오(五) 오(吾)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
|
|
|
|
재(宰) 장(章) |
순(純) 호(虎) |
겸(謙) 선(善) |
욱(旭) 구(九) |
평(평) 두(斗) |
|
|
|
|
|
|
|
[ 대종회 및 연락처
]
|
|
[ 인구(人口) ]
118,838명. (1985년) 43,300명,
139,438명. (2000년 통계청) |
|
[ 관련 사이트
] 반남박씨
홈페이지 (www.bannampark.org)
|
|
추가 및 수정 자료가 있으시면 정확한 내용(첨부 자료 포함)을 아래의 E-Mail 또는 FAX로 보내 주십시오... .
|
FAX : 050-5858-02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