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씨정보 | 조선 - 관직품계(官職品階 文·武) :+: www.Surname.iNFO = www.Surname.KR
|
◐ 관직품계(官職品階
= 文·武) |
정일품관 (正一品官) |
대군(大君), (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 : 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부(師傅 : 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위(尉 : 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한다.) 감사(監事 : 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
종일품관 (從一品官)
|
군(君), 위(尉),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판사(判事), 제학(提學=규장각의 관직), 사부(師傅 : 세손 강서원의
관직) |
|
|
정이품관 (正二品官)
|
군(君), 위(尉 : 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贊), 우참찬(右參贊),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규장각의 관직), 판윤(判尹),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도총관(都摠管). |
종이품관 (從二品官)
|
군(君), 참판(參判), 대사헌(大司憲), 동지사(同知事),
관찰사(觀察使 : 도의감사), 좌윤(左尹), 우윤(右尹), 직제학(直提學
: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留守), 목사(牧使)=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提學), 좌부빈객(左副賓客), 우부빈객(右副賓客),
제조(提調),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 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大將 : 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副摠管), 중군(中軍 :
정三품까지 있음), 사(使 : 무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 방어사(防禦使 : 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겸사복장(兼司僕將), 내금위장(內禁衛將), 별장(別將 : 용호령). |
|
|
정삼품관 (正三品官) |
부위(副尉 : 군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僉尉 : 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도정(都正),
대사간(大司諫), 대사정(大司成), 참의(參議), 부제학(副提學), 도청(都廳),
도정원정(都正院正),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첨지사(僉知事),
직각(直閣 : 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都承旨),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 제주(祭酒),
찬선(贊善), 보덕(輔德), 겸보덕(兼輔德), 판결사(判決事), 대장(大將),
정(正), 시(寺), 원(院), 감(監), 사(司)등의 관직, 좌통례(左通禮),
우통례(右通禮), 판교(判校), 수찬관(修撰官), 편수관(編修官 : 종三품까지
있음), 제검(提檢 : 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 종九품까지
있음), 별장(別將=훈련도감), 천총(千摠 : 훈련도감), 상호군(上護軍),
중군(中軍), 진영장(鎭營將 : 목사가 겸임함), 목사(牧使), 사림위장(司林衛將),
부사(府使 : 대도호부), 국별장(局別將), 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 기사장(騎士將),
관성장(管城將). |
종삼품관 (從三品官) |
첨위(僉尉), 부정(副正), 집의(執義), 사간(司諫),
전한(典翰), 사성(司成), 편수관(編修官), 참교(參校), 상례(相禮),
익례(翊禮), 내승(內乘=종九품까지 있음), 제거(提擧), 제검(提檢),
부사(府使), 대호군(大護軍), 진영장(鎭營將 : 부사가 겸임함), 절도사(節度使),
방어사(防禦使), 첨절제사(僉節制使), 우후(虞候=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騎士將), 선전관(宣傳官). |
|
|
정사품관 (正四品官)
|
수정(守正),
전첨(典籤), 사인(舍人), 장령(掌令), 시강관(侍講官), 응교(應校),
진선(進善), 필선(弼善), 겸필선(兼弼善), 사예(司藝), 사업(司業),
봉례(奉禮), 호군(護軍), 별제(別提 : 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僉正
: 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도선(導善), 우후(虞候), 제검(提檢
: 종四품까지 있음). |
종사품관 (從四品官) |
경력(經歷),
부응교(副應敎), 서윤(庶尹), 수(守)=사(司), 창(倉)의 관직, 부수(副守),
교감(校勘), 부호군(副護軍), 군수(郡守), 유영별장(留營別將), 성기별장(城機別將),
파총(把 摠), 외방겸파총(外方兼把摠), 선전관(宣傳官), 제검(提檢),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만호(萬戶). |
|
|
정오품관 (正五品官) |
령(令
: 종친부의 벼슬), 전부(典簿), 검상(檢詳), 정랑(正郞), 지평(持平),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사의(司議), 헌납(獻納), 시독관(侍讀官),
교리(校理), 겸교리(兼校理),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직강(直講),
기주관(記注官 : 종五품까지 있음), 찬의(贊儀), 별좌(別坐 : 종五품까지
있음), 전훈(典訓), 전수(典需), 사직(司直). |
정오품관 (從五品官) |
부령(副令
: 종친부의 벼슬), 판관(判官), 도사(都事 : 종九품까지 있음), 별좌(別坐),
부교리(副敎理), 좌권독(左勸讀), 우권독(右勸讀), 좌사어(左司禦),
우사어(右司禦), 기주관(記注官), 령(令)=서(署), 궁(宮), 고(庫)등의
벼슬, 현령(縣令), 부사직(副司直), 선전관(宣傳官). |
|
|
정육품관 (正六品官) |
감(監
: 종친부의 벼슬), 좌랑(佐郞), 감찰(監察), 사평(司評), 정언(正言),
검토관(檢討官), 수찬(修撰),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전적(典籍),
기사관(記事官 : 정九품까지 있음), 교검(校檢), 전악(典樂), 사회(司誨),
별제(別提 : 종六품까지 있음), 평사(評事), 사과(司果), 장원(掌苑),
사포(司圃), 좌익찬(左翊贊), 우익찬(右翊贊). |
정육품관 (從六品官) |
주학교수(籌學敎授), 별전수(別典需),
율학교수(律學敎授), 별제(別提),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지리학겸교수(地理學兼敎授), 명과학교수(命課學敎授),
교수(敎授), 부수찬(副修撰), 좌찬독(左贊讀), 우찬독(右贊讀), 좌위솔(左衛率),
우위솔(右衛率), 좌장사(左長史), 우장사(右長史), 기사관(記事官),
인의(仁儀), 부전악(副典樂), 사축(司畜), 사지(司紙), 의학교수(醫學敎授),
한학교수(漢學敎授), 선화(善화), 부전수(副典需), 영(令)=능(陵)의
벼슬), 찰방(察訪), 현감(縣監), 절제도위(節制都尉), 감목관(監牧官),
종사관(從事官), 부장(部將), 낭청(郞廳=선혜청의 벼슬), 부사과(副司果),
수문장(守門將 : 종九품까지 있음). |
|
|
정칠품관 (正七品官) |
주서(注書),
봉교(奉敎), 대교(待敎 : 정九품까지 있음), 박사(博士),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사경(司經), 설저(說書), 겸설서(兼說書), 자의(諮議), 전률(典律),
참군(參軍), 좌부솔(左副率), 우부솔(右副率), 낭청(郞廳), 기사관(記事官),
수문장(守門將).
|
종칠품관 (從七品官) |
직장(直長), 좌종사(左從史), 우종사(右從史),
사(士 : 호조의 벼슬), 명률(明律), 부전률(副典律), 선회(善繪), 부사정(副司正),
별회(別會). |
|
|
정팔품관 (正八品官) |
사록(司錄), 저작(著作), 설경(說經),
학정(學正), 부직장(副直長),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전음(典音),
별검(別檢 : 종八품까지 있음)), 사맹(司猛). |
종팔품관 (從八品官) |
계사(計士), 심율(審律), 봉사(奉事), 부전음(副典音),
별검(別檢), 전곡(典穀), 화리(화吏), 부사맹(副司猛). |
|
|
정구품관 (正九品官) |
주학훈도(籌學訓導),
율학훈도(律學訓導), 정자(正字), 전경(典經), 검열(檢閱),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학록(學錄), 부봉사(副奉事), 전성(典聲),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명과학훈도(命課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한학훈도(漢學訓導), 몽학훈도(蒙學訓導), 왜학훈도(倭學訓導), 여진학훈도(女眞學訓導),
사용(司勇). |
종구품관 (從九品官) |
회사(會士),
부정자(副正字), 분교관(分敎官), 학유(學諭), 겸인의(兼引儀), 가인의(假引儀),
참봉(參奉), 감역관(監役官), 가감역관(假監役官), 부전성(副典聲),
전화(典貨), 회리(繪吏), 권관(權管),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부사용(副司勇), 초관(哨官). |
|
|
|
|
추가 자료나 잘못된 곳이 있으면 자료를 Fax 또는 이메일( )로 보내 주십시오... .
|
|